"오르가즘이 일종의 죽음이라면 어쩌면 죽음은 범우주적인 쾌락일것이다"
요즈음들어 스페인 소설가들에게 깊은 감사와 찬사를 보낸다. 카를로스 루이스 사폰과 트리아스 데 베스에게 경의를.....
이 책의 모티브를 리하르트 바그너의 오페라 " 트리스탄과 이졸데"에서 가져왔다는데 테너 루트비히 슈노어 폰 카를스펠트는
실존인물이었으며 오페라 " 트리스탄과 이졸데"에서 트리스탄 역으로 마지막 무대를 마친 뒤 류머티즘으로 돌연 사망했다고 한다.
그가 죽은 후 그의 아내가 실성해서 마법과 악마술에 빠져들었고 나중에는 죽은 남편이 꿈에 나타나서 작곡가 바그너와 결혼하라
고 말했다고 해서 바그너를 당혹스럽게 했다는 비화도 있다고 한다.
학교다닐 때 공부도 못한 것이 점수는 어지간히 따진다면 아이러니겠지만 바람의 그림자에 별점 5점, 소리 수집가에 별점4점 준다.
그의 죄는 인간이라는 것, 바로 그것, 인간이라는 죄의 씨앗. 트리아스 데 베스는 이 말을 하고 싶어서 이 소설을 썼을 것이라
나는 단정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파리넬리의 카스트라토,오페라 유령, 향수의 그루누이, 피리부는 사나이, 에로스와 타나토스를
오갔던 소설이나 영화가 주마등처럼 지나갔다.
책을 읽는 동안 슈베르트,모차르트 베토벤,바그너의 음악이 흐른다는 사실.
테너 루트비히 슈노어 폰 카를스펠트 그는 싸이렌이며 향수의 그루누이였다.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무한한 악보를, 한 번도 자각해
보지 못한 악보를 해석하는 소리를 가진 사내, 오페라 가수가 그 곡을 완벽하게 부를 수 있다면 자신의 영혼을 악마에게 팔아버릴지
도 모른다는 <음악에 바치는 송가>를 소화하는 루트비히 .완벽한 사랑의 소리자, 모든 소리를 제압하는 사랑의 음향이었다.
그러나 트리스탄의 후예는 세상사람들과 달리 정액에 사랑의 음향을 품고 있고 그 소리를 듣는 이에게 흥분을 유발시켜 트리스탄
과 이졸데가 서로 절망적인 사랑을 했듯이 사랑하고 완벽한 사랑은 죽음의 상태가 아니면 존재 할 수 없다. 반드시 상대가 죽어버리는
저주의 액체 , 사랑의 묘약이 그의 정낭 속에 있다. 그러니까 그의 정낭 속엔 두 개의 힘, 즉 에로스와 타나토스를 한꺼번에 소유하고
있고 자신마져도 묘약의 힘을 제어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사랑에 빠지면, 단 한 번만이라도 육체를 탐하면 그 사랑을 죽음으로 인도하는.
그러나 루트비히는 사랑을 위해 목숨을 버리다.
죄는 인간이라는 것, 바로 그것, 인간이라는 죄의 씨앗.
원래의 트리스탄 이야기는 프랑스어로 쓰였기 때문에 여주인공 이졸데는 이죄(Iseut) 또는 이졸드(Isolde)라고 불러야 옳다. 켈트인(人)의 옛 전설을 소재로 하여 12세기 중엽에 프랑스에서 이야기로 엮어졌는데, 그 사랑과 죽음의 강렬함과 아름다움 때문에 거의 전(全)유럽에 보급되어 서구 연애문학의 전형이 되었다. 로누아의 왕자 트리스탄은 태어나기 이전에 아버지를 잃었고, 어머니는 그를 낳고 얼마 안 있어 죽었다. 콘월의 왕인 백부 마르크 밑에서 지용(智勇)을 겸비한 젊은 기사로 성장한 그는 아일랜드의 거인 몰오르트를 쓰러뜨리고 국난을 구했다. 백부의 아내가 될 미녀를 찾아 아일랜드에 가서 용을 퇴치하고 왕녀 이죄를 데리고 개선하는 도중, 해상에서 시녀의 실수로 마르크와 이죄가 마셔야 할 ‘사랑의 음료’를 마심으로써 트리스탄과 이죄가 관계를 맺는다. 그것은 사랑과 죽음의 음료로, 이를 마신 자는 하루를 못 만나면 병이 나고 사흘을 못 만나면 죽는다고 한다. 그래서 이죄는 마르크왕의 왕비가 되었으나 연인인 트리스탄과 항상 만나고 있었다.
어느 날 이 일이 발견되어, 두 사람은 처형을 피하여 깊은 숲 속으로 도망쳤으나 3년 뒤에 왕과의 화해가 성립되어 이죄는 궁정으로 돌아오고 트리스탄은 추방된다. 트리스탄은 이죄를 사모하여 브르타뉴에서 이죄와 같은 이름의 아내를 얻었으나, 연인을 잊을 수 없어 병상에 눕게 되며, 연인을 데리고 올 사자(使者)를 보내 놓고 그녀의 도착을 기다리면서 마침내 숨을 거둔다. 그가 죽은 직후에 이죄는 도착하지만 그녀도 슬퍼한 나머지 죽고 만다.
이 이야기의 원형은 오늘날 남아 있지 않으나 12세기의 70년대 무렵과 80년대에 토마와 베를르라고 하는 두 시인이 이를 고쳐 썼고, 그 단편(斷片)이 남아 있다. 독일에서는 12세기 후반에 아일하르트 폰 오베르크가 베를르의 이야기와 거의 같은 이야기를 썼고, 또한 13세기 전반에는 고드프리트 폰 슈트라스부르크가 토마의 이야기를 번안하였다. 이 토마의 이야기는 노르웨이와 영국에서도 번안되어 오늘날에도 그것이 남아 있다. 아이슬란드에서는 이 이야기가 발라드풍(風)으로 고쳐 써졌고, 또한 이탈리아에서는 프랑스의 산문이야기의 번역이 남아 있다.
이 비련은 후세의 시인이나 작가의 흥미를 불러일으켜, 극과 이야기 등으로 쓰였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것이 바그너의 악극이다. J.콕토는 이 이야기를 《영원한 회귀(回歸)》라는 제목으로 영화화하였다. 덧붙여 말하면 트리스탄의 이름은 노란블란드에 사는 픽트인(人)의 왕 이름 드로스탄에서, 이죄는 아일랜드의 해적왕의 딸 에시르트에서 유래하고, 이 두 인물을 콘월의 왕 마르크와 결부시켜 전설화한 것은 웨일스인(人)이라는 추정도 성립된다. 현대어로 번역된 것으로는 프랑스의 중세학자 베디에 편(編) 《트리스탄과 이죄 이야기》(1900)가 유명하다.
고대 브리튼 섬의(영구) 켈트족 전설 이야기입니다.
' 밑줄긋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밤에 걷다. - 존 딕슨 카 (0) | 2009.08.26 |
---|---|
거대한 고독 - 프레데릭 파작 (0) | 2009.08.18 |
검은 양과 또 다른 우화들 - 아우구스토 몬테로소 (0) | 2009.08.14 |
외도의 심리와 상담 - 양유성 (0) | 2009.08.13 |
불륜의 심리학 - 게르티 젱어 (0) | 2009.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