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z simo 2010. 8. 24. 07:48

 

 

 

 

꿈과 삶의  연결, 밤사이 우리가 꾼 꿈의 의미는 무엇인지,

현실에서 우린 어떤 의미로 받아 들여야 할 것인지.

어쩌면,

봉고차가 대교밑으로떨어지기까지의 수많은 일들이

지금 나에게 지나가는 일일지도 모르는 일 아닌가

나의 팽이는 계속 돌고 있고.

아무리 생각을 지키려고 해도 생각은 이미 도난 당한 상황이라는 생각이 드는 것은

이 영화가 내게 주는 커다란 충격내지는 허탈감이었을지도

지금 난

드림머신이라는 엘리베이터를 타고 떠나있을지도.

정신분석적인 깊이를 생각하지 않고도

한 사람 한 사람의 생이 늘 무의식의 꿈 속일지도.

대학로CGV에서 비를 맞고 걸어나오며

놀란 감독의 이니셉션이 아니라도 "미행","메멘토"가 아니라도

놀랄 일도 아니라고 중얼거렸다.

 

 


 

 
‘인셉션’을 성공시키기 위해 알아야 할 작전 용어

추출:
꿈을 꾸는 동안 경계가 허술해진 타인의 무의식 상태에 들어가 생각을 훔치는 것.

인셉션: 타인의 꿈속에 침투해 새로운 생각을 심는 작전. 성공의 여부는 표적의 편견에 달려있기 때문에 무의식 깊은 곳에 완전히 뿌리내려 그것이 진짜 본인의 생각이라고 믿게 만드는 것이 관건이다.

킥: 현실에서 떨어지는 느낌이나 충격을 받고 꿈에서 깨어나게 하는 것. 깊이 잠들어도 떨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느낀다. 꿈에 접속하는 모든 단계에 통할 킥으로 음악을 사용하기도 한다.

토템: 주사위나 추처럼 다른 사람 모르게 항상 지닐 수 있는 작고 묵직한 물건. 토템을 이용해 다른 사람의 꿈속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토템이 현실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계속해서 회전하고 멈추지 않는 것처럼- 현상을 보인다면 여전히 꿈속인 것이다.

림보: 원초적이고 무한한 무의식으로 이루어진 꿈의 밑바닥. 꿈을 공유하다 그 곳에 갇혔던 사람들의 기억만 존재하는 곳이다. 림보에 빠지면 뇌가 멈출 때까지 헤어나올 수 없다. 림보가 현실이 되면 정작 현실에서는 치매나 정신병에 걸린 사람처럼 보이게 된다.

찰스: 표적에게 자기 무의식과 맞서게 하려는 계략. 하지만 찰스를 쓰게 되면 표적이 꿈을 꾸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더 큰 위험에 노출될 수도 있다.




[ INCEPTION GUIDELINE ]

타인의 꿈을 공유하기 위해 알아야 할 기본 전제

1. 사람의 생각은 강하고 끈질긴 기생충처럼 죽이기도 힘들고 전염성도 강해서 머릿속 깊이 박힌 생각을 제거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머릿속 어딘가에 반드시 흔적을 남기기 때문에 그 속에서 중요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2. 강력한 진정제를 투입한 후 ‘드림머신’이라는 기구를 통해 타인의 꿈속에 침투할 수 있다. 기계를 이용하면 여러 명이 함께 그 꿈을 공유할 수 있다. 1단계의 꿈속에 침투하면 꿈속의 꿈이라는 더욱 깊숙한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

3. ‘설계자’가 기본적인 건축물로 꿈의 세계를 창조하면, 표적을 그 곳으로 데려가 그의 무의식에 존재하는 장소나 인물들로 꿈속을 채운 다음 비밀을 가져오는 과정을 거친다. 일단 꿈속으로 데려가면 깨어나기 전까지는 그것이 꿈이라는 것을 인지하지 못한다.

4. 만일 표적이 꿈이라는 것을 눈치채게 되면 그의 무의식 속에 존재하는 사람들이 마치 침투한 병균과 싸우는 백혈구처럼 침입자를 쫓아내기 위해 공격을 가한다.

5. 꿈에서는 영원히 오르기만 하는 ‘펜로즈 계단’처럼 어떤 모양의 건물도 만들 수 있다. 다만 꿈을 설계할 때는 창의력을 사용해 무에서 유를 창조해야 한다. 기억에 의존하면 설계자마저도 꿈과 현실을 혼동하게 된다.

6. 꿈속 세계에 있는 동안에도 모든 것이 현실처럼 보이고 느껴진다. 꿈에서 상처를 입으면 현실과 마찬가지로 똑같이 고통을 느낀다.

7. 꿈속에서 죽게 되면 꿈에서 깨어나게 된다. 다만 진정제의 약효가 강력하면 꿈속에서 죽어도 깨어나지 못하게 된다. 이럴 경우 꿈의 밑바닥인 ‘림보’에 빠진다.

8. 꿈속에서 뇌활동은 평소의 20배가 되고 꿈속의 꿈에서는 배가 된다. 이는 시간의 흐름으로 적용되는데 1단계에서의 10초는 2단계에서 3분이 되고 3단계에서는 60분이 된다.

9. 무의식은 이성이 아닌 감성에 좌우된다.

10. 표적의 마음에 뿌린 씨가 생각으로 자라고 그 생각이 그의 본질이 되어 한 인간을 완전히 바꿔 놓을 수 있다.



“머릿속 아이디어가 도시를 지을 수도 있지. 세계를 바꿀 수도 있고 법을 만들 수도 있어.”


<인셉션>은 놀란 감독이 16세에 처음 초안을 떠올린 후 약 10년 전부터 고안한 25년의 프로젝트이다. 깨어있는 삶과 꿈의 연관성, 사람의 머릿속에서 수 많은 것들이 창조된다는 것과 상상력 속에 잠재되어 있는 것들을 꿈을 통해 알 수 있다는 사실들을 반영한 대작 영화를 만들 방법을 고민했다.

놀란 감독에 의하면 영화의 주제는 개인적이며 또한 보편적이다. 꿈은 누구나 꾸고 머릿속에서 창조된 어떤 세계를 체험하는 현상을 모두 겪기 때문이다. 꿈은 인간의 깊숙한 내면 세계인 반면 그 안에는 상상이 만들어낸 모든 가능성이 무한하게 펼쳐진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것이다. 그런 이유로 사람들이 꿈속에서 느끼는 개인적인 감정과 머리에서 나오는 광범위한 상상들을 접목시켜 꿈에서만 펼쳐질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의 세계를 카메라에 담았다.

거대한 설산에서의 스키 추격 신과 수중 신, 무중력 상태의 액션 신 등 영화에 등장하는 거의 모든 장면이 실제 촬영으로 완성된 것이며 현실감을 더욱 증강시키기 위해 영화 주요 촬영의 대부분은 로케이션으로 진행됐다. 도쿄의 고층빌딩에서 캘거리의 산으로, 탕헤르의 이국적인 거리에서 파리의 러운 거리로, 역사가 살아있는 런던에서 현대적인 로스앤젤레스까지 이동했고 뜨거운 태양과 폭우, 엄청난 폭설 등 극한의 상황 속 촬영은 꿈이면서 또한 현실 같은 새로운 경험을 선사한다. 



<인셉션>에는 위대한 음악가인 가수 에디트 피아프가 부르는 “난 아무 것도 후회하지 않아요”가 중요한 음악으로 등장한다. 놀란  감독이 관객에게 던지는 질문의 다른 형태이다. 자신이 꾸는 꿈과 삶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자신들이 꾼 꿈과 그 의미는 무엇인지, 그렇다면 우리의 현실이 갖는 의미를 어떻게 판단할 것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