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꾼은 기본이지만 말 못하는 사람, 글 못쓰는 사람, 남들과의 충돌이 잦은 사람에게도 기본이 되는 책이다.
소크라테스가 니 꼬라지를 알라고했던 말 다시금 되새기게하는 책.말 ,말 말.
하루종일 꼬리표처럼 달고다녔다.
뭐 또 내일이면 잊겠지만
그런데 이 책이 고전의 시학을 읽기위한 디딤돌이 되어준다.
또한 옛날 영화를 통하여 스토리텔링이 말하는 것이 무엇인지는 말해 더 흥미있다.
시간나면 TV의 쿡영화보기에 빠져 있는 사람이라 그런지 책이 손에서 떨어지질 않는다.
<스토리가 스펙을 이긴다> 카하~~너무 멋있다.
시나리오 작가이자 미라맥스 필름에서 스토리 애널리스트로 일한 저자가 영화[대부] [죽은 시인의 사회] [타이타닉] [터미네이터]
[펄프 픽션] [록키] [메리에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브렉퍼스트 클럽] [블레어 윗치] [시민 케인] [아메리칸 뷰티] [악마의 씨]
[엔젤 하트] [죠스] 에서 <시학>를 예로 들어극적인 핵심 질문을 던지고 계속 키워 나가서 대답까지 할 수 있도록 시나리오를 쓴 다음
독자나 관객을 붙들라고 말한다.
우리가 영화를 볼 때 두개의 뇌를 사용한다 그리고 그것때문에 돈을 내며 영화 밖에서 지켜보기도하지만 아무리 고통스럽다
할지라도 참여하고 싶어하며 아무리 믿기 힘든 것도 머릿속은 영화감독과 함께 놀기를 바란다는 것이다.
모방이란 인간에게 아주 중요한 학습도구이며, 우리는 일생동안 책을 읽거나 드라마를 보면서 모방을 통해 즐거움을 느끼며 모방으로
만들어진 작품을 보며 즐기고 배우는 것은 우리 인간의 본성 가운데 하나이며 고통이야말로 극적인 이야기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며
고통은 인간 본성 가운데 즐겁지 않은 부분도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 줄 뿐만 아니라
우리가 두려워하지만 한편으로 매혹시키는 죽음과 대면하도록 해주기도 한다는 것
이야기의 무게 중심을 만들기 위해 비극적 행위를 사용하라.
모든 극적 행동을 개연적이면서도 필연적인 인과관계로 연결하라.
이야기가 실제있었던 것 처럼 느껴지게 하라.
운명의 반전과 발견의 순간을 구축하는 방식을 찾아라.
가슴 아픈 도덕적 갈등을 심어라.
시나리오 안에 당신의 도덕적 세계를 펼치고 선과 악을 중재하는 인물을 창조하라.
그리고 당신의 주인공이 세상의 절대선을 대변하게 하라.
"따라서 시는 역사보다 더 철학적이고 중요하다. 왜냐면 보편적인 것을 말하고... 다시 말해 이러이러한 성질의 인간은 이러이러한 것을 말하거나 행할 것이라는 뜻이며...
이것이 바로 시의 목적이다. " - 본문 중에서 -

"아리스토텔레스가 우리에게 가르친 방식대로 세 문장으로 구성된 작은 이야기를 생각해보라. 이야기의 무게중심을 만들기 위해 비극적 행위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생각하라. 당신이 쓴 모든 극적 행동을 개연적이면서도 필연적인 인과관계로 연결하여 이야기를 구축하고, 그 이야기가 실제로 있었던 일처럼 느껴지게 하라. 운명의 반전과 발견의 순간을 구축하는 당신만의 방법을 찾아, 그런 순간을 배경 이야기에 숨어 있는 비극적 행동에 닿게 하라. 당신이 만든 주인공을 색칠하면서 갈등의 중심에 너무나 가슴 아픈 도덕적 갈등을 놓고, 그것을 통하여 주인공의 영혼과 관객들의 영혼이 교감할 수 있게 하라.” - 본문 중에서

한국의 독자들에게
머리말
시작하는 말: 액션 아이디어
1. 시작과 중간과 결말부터 시작하자
2. 왜 당신의 영화는 시한폭탄이 되어야 하는가!
3. 이야기의 재료는 사람이 아니라 행동이다
4. 서브플롯은 잊어라―최고의 플롯은 한가지 길로만 간다
5. 플롯이 생명이다
6. 극의 목표는 플롯을 통해 이루어진다
7. 왜 멋진 플롯은 따로따로 놀면 안되는가?
8. 네 가지 플롯
9. <시학>은 [반지의 제왕]과 같은 서사시에 대해 뭐라고 말하나?
10. 운명이란 일어나기를 기다리는 사건일 뿐
11. 가장 비극적인 일은 가족 사이에 생겨난다
12. 빌어먹을! 겪지 않아도 되는 불행을 내가 또 불러들이다니!
13. 검투사들이 벌이는 피의 축제가 ‘최고의 영화’로 뽑힌 이유는?
14. 영화는 해피엔딩이든 아니든 이야기를 갈무리할 만큼 길어야 한다
15. 당신이 행복하다고 느끼는 그 순간이야말로 바로 반전과 발견의 때
16. “그 일이 언제 닥칠지 몰라요. 어떡하죠?”--복합플롯의 최고 동력
17. 악마야말로 [엔젤 하트]의 플롯을 구성하는 진짜 디테일
18. 행동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반드시 스크린 위로 드러나야 한다
19. 영화가 연민과 공포를 주지 못했다면? 해답은 카타르시스
20. 행동은 말보다 더 많은 것을 이야기한다. 둘이 함께라면 더 좋고!
21. 완벽한 할리우드 희비극 플롯 vs. 완벽한 <시학>의 비극 플롯
22. 이미 알고 있는 것으로 관객을 움직여야 한다
23. 선한 주인공, 악한 주인공, 그리고 그 중간에 놓인 주인공
24. 중요한 것은 행동 뒤에 숨어 있는 당신의 사상이다--시나리오의 톤 만들기
25. 당신이 그리스 비극에 나오는 합창단을 쓸 수 없다면?
26. 진짜 진짜 진짜 살아 있는 인물을 만들려면
27. 대사는 행동의 일부분이다
28. 영화제안서를 들어도 두렵거나 안타깝지 않다면 영화도 마찬가지
29. 쿠엔틴 타란티노의 비선형 플롯
30. 당신의 이야기가 뮤지컬이라면, 노래는?
31. 실제든 꾸며진 것이든 역사는 반복된다.
32.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드라마의 중요성
33. 아리스토텔레스는 코미디를 진지하게 생각했다

' 밑줄긋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만난 하나님 - 김승옥 (0) | 2011.03.24 |
---|---|
18시간 몰입의 법칙 - 이지성 (0) | 2011.03.03 |
태어나서 미안합니다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외 (0) | 2011.02.26 |
실비아 플라스의 일기 - 실비아 플라스 (0) | 2011.02.08 |
인간실격 - 다자이 오사무 (0) | 2011.02.03 |